NEWS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가는 길

이학성 기자 2011. 6. 30. 15:14

                            

                       

                         차세대 기술 클러스터ㆍ산업체계화 구축이 관건

                                 정부ㆍ기업 참여와 뛰어넘기 전략 통한 가치사슬 조성 시급

                            에너지안보 개선과 반도체·조선산업 이은 제2 수출효자산업

 

  석유산업이 지고 바야흐로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연구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장 규모도 급성장해 지난 2009년 3,469억 달러로 커지면서 급기야 반도체시장 2,267억 달러를 앞섰다. 향후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2015년 6천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며, 2009년 5천억 달러인 철강 산업과 1만1600억 달러인 자동차산업 규모를 곧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까지 속속 나오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선발주자인 독일·덴마크·미국 등의 선진국은 원천기술을 무기로, 중국·인도 등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의 80% 이상을 선점해 나가고 있다. 예컨대 2010년 태양광시장을 들여다보면 글로벌 톱 10 기업 중 중국이 6개, 유럽 1개, 북미 2개가 올라와 있다. 풍력도 중국 3개, 유럽 5개, 북미 1개 기업이 랭크돼 있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일부 선진국과 중국에 의해 독차지 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정부위주 탈피와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시급

 우리나라는 2009년 기준 세계 태양광 시장점유율 1%, 풍력 시장점유율 0.1%에 불과해 국제경쟁력면에서 매우 뒤쳐져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태양광 폴리실리콘 분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신재생에너지 부품·소재 분야 경쟁력 지수도 낮다. 이 같은 요인은 뒤늦게 뛰어든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보다 혁신적인 연구개발 체제구축과 지원을 위한 계획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신재생에너지산업 강국을 위해서는 먼저,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드라이브 정책 체제에서 과감하게 탈피하고, 개편할 마인드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정부 위주의 정책은 민간 및 지방 정부의 자율적인 참여의식을 결여시켜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초기시장 확산과 창출을 위한 보급에 문제점이 노출됐다.

경험도 적고 기술정책 미흡이 불러온 결과는 예상했던 성과를 못 내고 신재생에너지 산업별 가치사슬도 결여됐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에너지 각 부문별 국내외시장 수요 및 공급자 조사를 면밀하게 추진해야 산업화 초기시장 분석이 관건이다. 또한 지방정부에도 이러한 역할을 부여해 대ㆍ중소기업간 동반성장 인프라 조성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테스트베드 및 에너지원별 클러스터 조성

 다음으로 ‘뛰어넘기(leapfrogging)’ 전략을 통한 차세대 기술을 선점이다. 물론 기존시장이 형성돼 있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나 풍력 등 1세대 기술은 ‘따라잡기(catch up)’ 전략을 통해 선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부의 중·장기적인 정책을 통해 차세대 박막·염료감응 태양전지 등 차세대 기술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해 향후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한국은 이미 ‘뛰어넘기’ 전략을 잘 활용해 국제시장에서 성공한 좋은 경험이 있다. 한 예로, LCD 분야 1, 2세대 라인에서 선발적 우위시장를 점유했던 일본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오히려 1, 2세대 기술을 넘어 3세대 라인에 집중함으로서, 현재 전 세계 디스플레이시장을 압도적으로 석권한 상황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산업화와 상용화를 위해 지역 간 산업조성과 여건 등을 고려한 에너지원별 ‘클러스터[Cluster]를 조성도 시급하다. 무엇보다 기술 신뢰성 확보를 위해 대규모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설계·제작·시험 등 종합적인 기술축적 확립과 수출화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MB정부가 발표한 녹색성장정책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업지원 테스트베드 지원 정책은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과 발전에 초석이 될 전망이다.

 

반도체·조선산업 이은 수출효자산업 전망

 하지만 문제점은 태양광산업은 기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술력 등 산업 기반인프라와 연계해야 하며, 풍력산업 또한 산업적 유사성이 많은 조선산업과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육성할 클러스터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한다. 특히 지방의 지자체가 관련 사업 주도권을 주어 지역기업들 독립적인 자생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지역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지역 내 고용창출도 유도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부족한 가치사슬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세계 제일의 신재생에너지 기업인 미국의 퍼스트솔라[First Solar]나, 독일 '큐셀' 등과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기업을 지자체가 발 벗고 나서서 유치해 첨단기술 이전에도 주력해야 한다.  

한국은 신재생에너지 강국을 향한 의지와 기술 도약이 가능한 기반여건도 보유하고 있다. 주어진 토대를 어떤 측면에서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정부와 기업 등 참여와 뛰어넘기 전략을 통한 차세대기술 선점과 신재생에너지원별 클러스터를 시급히 착수해 국내에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산업 체계화를 서둘러야 한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향후 국내 에너지안보 개선과 반도체·조선산업에 이은 제2의 수출효자산업이 될 전망이다.

이학성 기자